[총선 일타강사] 출구조사 이모저모…정확도 비결·주의할 점은<br /><br />알아두면 쓸데있는 선거이야기, 총선 일타강사 최덕재입니다.<br /><br />선거 끝나고 출구조사 결과를 보면, 정확도가 꽤나 높아 놀랄 때가 있죠.<br /><br />어떻게 하는 걸까요?<br /><br />그래서 준비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시간 총선 일타강사, '출구조사 이모저모'입니다.<br /><br />자, 먼저 그동안 출구조사가 얼마나 적중률이 높았나 한 번 볼까요?<br /><br />대통령 탄핵으로 실시된 19대 대선 출구조사에서는 당시 문재인 후보 41.4%, 홍준표 후보 23.3%, 안철수 후보 21.8%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실제 개표 결과는 어땠을까요?<br /><br />각각 41.1%, 24.0%, 21.4%였습니다.<br /><br />거의 맞춘 수준이네요.<br /><br />초박빙이었던 때는 어땠는지 한 번 볼까요?<br /><br />직전 선거죠?<br /><br />20대 대선 출구조사에서는 당시 윤석열 후보 48.4%, 이재명 후보 47.8%로 조사됐고, 실제 결과는 각각 48.6%, 47.8%였습니다.<br /><br />족집게처럼 딱 맞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.<br /><br />그럼 이렇게 정확도가 높은 출구조사,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일단, 이게 지상파 3사 풀입니다.<br /><br />여기다 여론조사업체도 각각 한 곳씩 붙어 협업합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조사 방법인데요.<br /><br />사실 이건 일종의 '영업비밀'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논문들을 찾아봤습니다.<br /><br />이건 2014년 6·4 지방선거 때 출구조사를 어떻게 설계했는지 정리해놓은 겁니다.<br /><br />조사 방식은 계속 진화하고 변하니, 하나의 틀 정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.<br /><br />650개가 넘는 투표소에서 13만4,000명이 넘는 투표자를 대상으로 했네요.<br /><br />또, 매 5번째 투표자를 등간격으로 대상으로 하네요.<br /><br />이렇게 대규모로 조사를 진행할 뿐 아니라, '정렬계통추출' 같은 복잡한 통계 방법도 활용합니다.<br /><br />그리고 공직선거법 제167조를 보면, 누구에게 투표했는지 말할 의무가 없고, 투표가 끝나기 전에 물어봐서도 안된다고 돼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방송국 등이 투표소에서 50미터 떨어진 곳에서 '비밀이 침해되지 않는 방법으로' 질문하는 경우는 예외로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 혹시 출구조사 질문을 받으시면, 투표소에서 충분히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시는 게 좋겠습니다.<br /><br />당연히 답하지 않을 권리도 있고요.<br /><br />셰프의 요리를 특별하게 하는 '킥', 이번 시간 '일타의 킥'으로 최종 정리합니다.<br /><br />출구조사 정확도가 높은 건 많은 인력, 자본 등을 집중적으로 투입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최신 통계학의 전문적 활용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출구조사 질문에 답할 의무는 없지만, 한다면 투표소에서 50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주변에 들리지 않게 하면 됩니다.<br /><br />알아두면 쓸데있는 선거이야기, 총선 일타강사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